<ASP> ASP 기초, 문법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4. 12. 04:06 프로그래밍/.NET

 

 ASP 는 <% 로 시작하여 %>로 끝난다.


선언 및 생성

1. DIM - 변수 선언

ASP에서는 변수 선언을 하지 않고 Dim을 생략해서 사용해도 기본적으로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ASP 변수는모두Variant 형-16 bytes)

(변수를 선언 하지않고 사용하면 파일을 실행할때 소스코드를 해석하는데 많은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느려질수있다.)

2.Set - 개체를 생성


논리 구문

1.    IF (조건문) THEN  , ELSE , END IF

2.    SELECT CASE,CASE,CASE ELSE,END SELECT

ex) 

SELECT CASE number

CASE 1

Response.write "number 는 1입니다"

CASE 2

Response.write "number 는 2입니다"

CASE 3

Response.write "number 는 3입니다"

CASE ELSE

Response.write "number 는 1,2,3이 아닙니다"

END SELECT

3.    FOR (시작) TO (종료) STEP (증감),NEXT

-> 실행 횟수를 알고 있을때

ex)

DIM Loop

FOR Loop=1 TO 1000 STEP 1

Response.write Loop & "<BR>"

NEXT

4.    DO WHILE (조건식),LOOP

-> 실행 횟수를 알지 못할때

ex)

Dim Loop

Loop=1

DO WHILE LOOP <=1000

Response.write Loop & "<BR>"

Loop = Loop +1

LOOP



'프로그래밍 > .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P.NET MVC] Project 생성, MVC Hello World!  (4) 2015.06.26
<ASP.NET> Razor  (5) 2015.05.18
<.NET> .NET FRAMEWORK 란?  (4) 2015.05.18
<ASP.NET> ASP.NET 이란?  (3) 2015.05.18
<ASP> ASP 란 ?  (3) 2015.04.12

<ASP> ASP 란 ?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4. 12. 03:49 프로그래밍/.NET

 

 

 

 

ASP ( Active Server  Pages)

- > 동적으로 서버에서 작동하는 페이지

1995년 말에 등장한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의 세 번째 버전으로 MS사 NT Machine 의 IIS 3.0 이상에서만 동작하는 특별한 페이지이다.

ASP라는 페이지는 Web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서버에서 동작하는 페이지로써 기존의 HTML 페이지와는 상당히 다른, 동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게 해 준다.

ASP는 Visual Basic언어에서 가져온 Visual Basic script입니다. ASP는 소형,중형 웹사이트 까지 개발하는데는 괜찮지만 대형 웹사이트를 개발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릅니다.

드 자체가 복잡해지며 퍼포먼스가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나온게 ASP.NET이며 VB.NET이나 C#을 사용하기 때문에 객체지향 방식으로 프로그래밍이 되고 디자인 패턴 (MVC등)

 다양한 기법이 동원되기 때문에 대형 사이트 개발에 유용합니다.

특징

1.ASP는 윈도우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발생하기 쉬운 보안문제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인터넷에서.asp 파일을웹 문서로 사용하는웹사이트는‘이웹사이트는MS 운영체제를사용한다’는사실을광고하는것과마찬가지므로 몇몇 웹 사이트는 .asp 확장자 대신 .html이

나 다른 확장자를 지정하여ASP를 사용하고있음을 감추기도 한다.

2.ASP 파일의확장자는 기본적으로.asp여야한다

3.ASP 문서를 해석하는 해석기는 asp.dll 파일이며

4.


출처:(http://webstyledesign.tistory.com)


서버의 역할은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html 페이지를 찾아서 사용자에게 넘겨주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나머지는 사용자의 브라우저가 알아서 해석해서 보여주는 것이니 말이다

 


출처:(http://webstyledesign.tistory.com)


ASP의 경우는 사용자가 어떤 페이지를 요청했다고 가정했을 때, 그 페이지를 html 페이지처럼 사용자의 브라우저에게 그냥 보내주지는 않는다.
사용자에게 보내주기 이전에 서버내에서 어떤 처리를 하고 그 처리 결과를 태그로 만들어, html 형식으로 다 만든 뒤, 그 만들어진 페이지를 사용자의 브라우저에게 보내주는 것이다.

ASP의 소스는 일반 클라이언트들이 해킹을 하지 않는 한 절대 볼수없다.



출처:(http://webstyledesign.tistory.com)








'프로그래밍 > .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P.NET MVC] Project 생성, MVC Hello World!  (4) 2015.06.26
<ASP.NET> Razor  (5) 2015.05.18
<.NET> .NET FRAMEWORK 란?  (4) 2015.05.18
<ASP.NET> ASP.NET 이란?  (3) 2015.05.18
<ASP> ASP 기초, 문법  (3) 2015.04.12

자연어처리와 오피니언마이닝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4. 12. 03:47 프로그래밍/빅데이터

 


1. 오피니언마이닝(OpinionMining)




 텍스트 마이닝의 한 분류로서 평판 분석으로도 불리며, 소셜미디어 등의 정형/비정형 텍스트의 긍정,부정,중립의 선호도를 판별하는 기술이다. 오피니언 마이닝은 특정 서비스 및 상품에 대한 시장규모 예측, 소비자의 반응, 입소문 분석등에 활용되고 있다. 정확한 오피니언 마이닝을 위해서는 전문가에 의한 선호도를 나타내는 표현/단어자원의적이 필요하다.

 오피니언 마이닝 기술은 상품구매 및 정보획득에 있어서 평판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기반 서비스와 블로깅 등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한 이용후기나 평가내용을 공유하는 리뷰 관련 시장이 활성화되며서 그 가치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2. 자연어 처리 기술(Natural Language Processing)

 연어 처리 기술이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문제를 다루는 기술이다. 인간이 발화한 언어 현상을 기계적으로 분석해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거나 혹은 컴퓨터가 처리한 결과를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표현하는 제반 기술을 자연어 처리기술이라고 한다.

자연어 처리의 핵심 기술은 형태소분석, 구문분석, 화행분석, 대화처리라고 할수 있다.


 2-1) 형태소분석

 형태소 분석 기술은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 열들로부터 최소 의미단위인 형태소들을 분리해 내고 각 형태소들의 문법적 기능에 따라 적절한 품사를 부착해 주고, 필요하다면 단어의 원형도 복원하는 기술이다.

 ex)   내가 우유를 먹었다.

본   보(다) / 동사+ㄴ / 어미;  형태소분석 후보(1) - 최적의 형태소 분석 및 품사부착 결과

살(다) / 동사+ㄴ/어미; 형태소분석 후보(2)    

산 / 명사; 형태소 분석 후보(3)

2-2) 구문분석

 구문분석은 형태소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문장을 이루고 있는 명사구, 동사구, 부사구 등의 구문들을 묶어주는 것 뿐만 아니라, 주어, 술어, 목적어 등과 같은 주요한 문장 구성성분을 밝혀내고 그들 사이의 구문관계를 분석하여 문장의 문법적 구조를 결정하는 기술이다.

  ex)   내가 산 우유를 먹었다.

(((내가/주어 산/술어) 우유를)/목적어 먹었다/술어)  –  가장 적합한 구문구조

((내가/주어 (산 우유를)/목적어) (먹었다)/술어)    

((내가/주어 산) (우유를/목적어 (먹었다)/술어))

2-3) 화행분석

 단편적으로는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들의 의미를 구분하고, 통합적으로는 문장 구성 성분들 사이의 의미적 관계를 논리적으로 밝혀내어 문장의 전체적 의미를 파악하는 기술이다.

ex ) 산 우유

    • 산: buy, live/alive, mountain
    • 우유: milk

2-4) 대화처리

 문서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편적이며, 여러 문장 간의 연관관계 및 전후 문맥을 고려하여 문장간의 의미관계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이는 전후 문맥을 참조하여 해당 문장에 쓰인 대용어들(이것, 저것)이 구체적으로 가리키는 것을 찾아내는 것 뿐만 아니라 해당 문서 내에서 문장의 의도를 파악하는 기술을 포함한다.



3. 예제

단편소설인 소나기를 통해 소설에서의 단어들을 출현빈도수에 따라 높은순서로 R은 30개를 Python은 100개를 뽑는 예제이다.



 3-1)  Korea NLP Packages in R: KNLP





 3-2) Koean NLP in Python : KoNLPy





※ 출처 

 http://readme.skplanet.com/?p=3749              SK플래닛 기술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