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e Directory]Domain Controller 설치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6. 2. 08:55 시스템인프라/MS서버군

이번에는 도메인 컨트롤러 설치에 대해 살펴보자.

우선 AD를 설치한다는 말은 도메인 컨트롤러를 설치한다는 의미와 같고 AD를 구성하는 처음 시작은 도메인 컨트롤러를 설치 하는것이다.

도메인 컨트롤러는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인증 밍 허가 서비스, 다른 도메인 컨트롤러와 복제 서비스,

사용자 계정과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럼 도메인 컨트롤러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우선 도메인 컨트롤러를 설치하기 전에 컴퓨터 이름을 설정하도록 한다.


AD 서버가 사용할 IP 설정을 하도록 한다.


서버관리자에서 역할 및 기능 추가버튼을 누른다.


위와 같이 역할 및 기능 추가 마법사화면이 나오고 다음을 누른다.


여기서 우리는 AD를 설치할 예정이기 때문에 역할 기반 또는 기능 기반 설치를 선택 후 다음을 누른다.

기본적으로 역할 기반 또는 기능 기반 설치에 체크가 되어있기 때문에 다움을 눌러도 된다.


서버 풀에서 서버 선택이 기본으로 선택되어 있고 서버 풀에 설치할 수 있는 컴퓨터 목록이 나오는데 컴퓨터 이름을 확인 후 다음을 누른다.


역할 목록에서 Active Directory 도메인 서비스를 선택 후 다음을 누른다.




설치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이 도메인 컨트롤러 설치가 진행되고 설치가 완료되면 닫기 버튼을 눌러 설치를 완료한다.

JSTL Core Tag (c tag)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6. 2. 08:55 프로그래밍/JAVA

JSTL Core Tag (c tag)

: JSTL에는 코어, 포맷팅, 함수, 데이터베이스, XML처리와 같이 다섯개의 라이브러리를 지원하지만 이 글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태그인 "코어" 태그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 JSTL (JSP Standard Tag Library) 이란?

 - http://tomcat.apache.org/taglibs/

 - JSP에서 사용되는 반복, 조건, 데이터관리,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시간, 숫자, 날짜, 문자열 가공등을 사용할 수 있는 표준라이브러리이다.

 - JSTL은 EL(Expression Language)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 JSTL 설정 (스프링에서의 설정 : pom.xml)



■ JSTL 사용 (JSP파일에서의 사용 선언)



■ JSTL Core Tag의 종류

 태그이름

설명 

<c:set />

 변수의 선언 및 제거

<c:remove /> 

<c:out /> 

변수의 출력 

 <c:catch />

예외 처리 

<c:if /> 

조건문 (else는 없다) 

<c:choose /> 

Switch문과 비슷 

<c:when />

<c:otherwise /> 

<c:forEach /> 

반복문 

<c:forTokens /> 

구분자로 분할하여 반복문 

<c:url />

URL 생성 

<c:param /> 

파라미터 추가 

<c:import /> 

페이지 첨부 

 <c:redirect />

URL 이동 



■ 각 Core Tag 설명


1. <c:set /> Tag

- JSP의 setAttribute()와 같은 역할

- <c:set var="변수명" 

value="변수에 넣을 값"

property="자바빈 객체 or Map 객체 값을 설정할 프로퍼티 명"

scope="변수 공유 범위" />


2. <c:remove /> Tag

- JSP의 removeAttribute()와 같은 역할

- <c:remove var="변수명" 

scope="변수 공유 범위" />



3. <c:out /> Tag

- '<%=...>'와 같다. JSP의 표현식을 대체

- <c:out var="변수명" 

default="기본값"

escapeXML="true|false" />




4. <c:catch /> Tag

- Body에서 실행되는 코드의 예외 처리

- <c:catch var="에러메시지가 포함될 변수명" />




5. <c:if /> Tag

- 조건문

- <c:if test="조건 판별식"

var="변수명"

scope="변수 공유 범위" />




6. <c:choose />, <c:when />, <c:otherwise />

- Switch문과 동일, 여러개의 when 태그와 하나의 otherwise 태그를 가진다

- <c:if /> 태그에 else가 없으므로 대체식으로도 많이 사용

- <c:choose>

<c:when test="조건 판별식"> .... </c:when>

<c:when test="조건 판별식"> .... </c:when>

<c:when test="조건 판별식"> .... </c:when>

</c:choose>




7. <c:forEach /> Tag

- 객체 전체에 걸쳐 반복 실행에 사용

- <c:forEach var="현재 아이템의 변수명" 

items="반복 데이터가 있는 아이템 Collection 명"

begin="시작 값, 기본값은 0"

end="종료 값"

step="증가 값"

varStatus="반복 상태 값을 지닌 변수" />


※ varStatus는 forEach의 상태를 알 수 있는 값이 들어 있다.

  • $(변수.current} : 현재의 인덱스
  • $(변수.index} : 0부터의 인덱스
  • $(변수.count} : 1부터의 인덱스
  • $(변수.first} : 현재 루프가 처음인지 확인
  • $(변수.last} : 현재 루프가 마지막인지 확인
  • $(변수.begin} : forEach문의 시작 값
  • $(변수.end} : forEach문의 끝 값
  • $(변수.step} : forEach문의 증가 값



8. <c:forTokens /> Tag

- 문자열을 구분자(delimiter)로 분할

- <c:forTokens var="현재 아이템의 변수 명"

items="반복 데이터가 있는 아이템 Collection 명"

delims="구분자, 여러개 지정 가능"

begin="시작 값, 기본 값은 0"

end="종료 값"

step="증가 값"

varStatus="반복 상태 값을 지닌 변수" />




9. <c:url /> Tag

- URL의 생성

- <c:url var="생성한 URL이 저장될 변수 명"

value="생성할 URL" 

scope="변수 공유 범위" />




10. <c:param /> Tag

- 파라미터 추가

- <c:param name="파라미터 명" value="값" />




11. <c:import /> Tag

- 페이지 첨부

- import 태그 내에 param 태그도 사용할 수 있다.

- <c:import url="첨부할 URL" />



12. <c:redirect /> Tag

- sendRedirect()와 동일

- <c:redirect url="이동할 URL" />




※ 출처

http://wiki.gurubee.net/pages/viewpage.action?pageId=26740270

http://bloodygale.tistory.com/82


'프로그래밍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의 Collections (List, Set, Map) 이해  (320) 2015.04.10
Java의 Garbage Collection  (315) 2015.03.27
Java의 String, StringBuffer, StringBuilder 설명  (277) 2015.03.24
JAVA 첫번째  (3) 2015.03.17

Active Director 개념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6. 2. 08:54 시스템인프라/MS서버군

우선 ActiveDirectory(AD)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Directory Service에 대해 먼저 살펴보자.


1. Directory Service 란

일반적으로 Directory라고 하면 폴더를 생각하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Directory는 데이터나 프린터, 컴퓨터, 사용자정보등 

데이터가 저장된 용기라고 보면된다. 일종의 전화번호부를 의미한다.

Directory Service란 네트워크 서비스의 일종으로 네트워크 자원(사용자계정, 그룹계정, 프린터정보, 컴퓨터정보 등..)에 접근하여 

관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ActiveDirectory란 MS Windows Server에서 제공하는 Directory Service를 말한다.


2. AD를 사용하는 이유

AD는 중앙에서 집중화된 관리를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AD에서는 사용자, 컴퓨터등 자원들을 객체로 표현하고 관리를 하는데 사용자나 컴퓨터등의 객체가 얼마 되지 않는다면 AD를 사용할 필요가 없겠지만

이러한 객체들이 많아지고 모든 객체를 관리하기를 원한다면 중앙에서 관리하는 서비스가 필요하기 때문에 AD를 사용한다.


3. AD 역할

AD의 특징이 중앙집중화된 관리라고 했는데 AD에서 관리하는 것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사용자, 그룹, 컴퓨터에 대한 관리

- 모든 사용자 객체에 대해 보안정책을 적용

- 공유된 네트워크 자원을 접근, 할당 하는 기능

- 그룹관리 및 각 그룹에 보안설정 기능

- AD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